본문 바로가기

여행이야기/앙코르이야기

[앙코르톰] 바이욘, 그곳은 신들의 세계

반응형

아마도 캄보디아에 다시 간다면 난 이것 때문일 것이다. 애초에 바이욘에 대해서는 기대감이 별로 없었다. 그것은 일단 바이욘에 대해서 제대로는 커녕 대충이라도 알지 못한 까닭이었고, 아름다운 반떼이 쓰레이와 웅장한 앙코르왓에 취해 기간중에 다시 한 번 더 그곳들을 들러 볼 수는 없을까... 하는 고민이 있을 따름이었다. 한 번 둘러봤다고는 하나 사진만 찍느라고 세심하게 관찰을 하지 못했기에 아쉬움이 컸던 것이다.

하지만 바이욘에 들어선 순간 난 아득하게 그들의 세계에 빠져들어가 반떼이 쓰레이나 앙코르왓보다도 더 제대로 둘러보지 못하고 말았다. 기대감이 없는 상태에서 맞이하였으니 그 충격은 더 컸다. 실로 눈앞에 펼쳐진 그 커다란 얼굴들의 향연이 주는 감동은 의외의 충격으로 다가왔던 것이다. 아직까지도 바이욘만 생각하면 어떨떨한 기분이다. 이제 그 이야기를 해보련다.



앙코르의 거대도시 앙코르톰의 정중앙에 위치한 바이욘사원은 자야바르만 7세가 애초에 힌두사원이 있던 자리에 세운 불교사원이다. 허나 이것도 추측일 뿐 사원의 연원에 대해서 아직 정확하게 밝혀내진 못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멀리 바이욘사원이 보이고 있다. 대충보아도 알 수 있듯이 부처의 모습인 듯 사람의 얼굴 형상을 찾아볼 수 있다.

아, 맞다. 여기사 그 사면상의 탑이 많은 그 사원이로구나... 속으로만 그리 생각하고 발길을 옮겼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원과 거리가 가까와질수록 얼굴의 윤곽이 뚜렸하게 보인다. 아직은 그 크기가 실감이 나지않아 참 재미있는 모습을 가진 사원이로구나... 생각했다. 또 돌의 바램이나 색채가 너무 알록달록하여 이렇게 멀찌감치에서는 그 모습을 제대로 분간하기가 어려웠다. 어쩌면 이건 또다른 신비감이 물결치는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제껏 대부분의 사원이 그랬듯이 바이욘 역시 세월과 전쟁의 상흔이 남아 있었다. 떨어져 나간 상인방에 재밌는 포즈의 인물상이 새겨져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입구 기둥에 새겨진 압사라(천사)들의 모습. 기둥을 따라 좌우로 돌면 1층에 회랑(갤러리)가 펼쳐져있을 것이었다. 하지만 난 이를 알아채지 못하고 일행들을 좇아 위로만 올랐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연꽃인 듯한 식물위에서 춤을 추고 있는 압사라들. 앙코르왓의 압사라들과는 많이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어쩌면 익살 맞기도 하고 표정 또한 재미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조각조각 퍼즐과도 같은 큰바위얼굴이 점점 또렸해진다. 실로 그 크기가 사람의 전신보다 크다. 어찌 이런 탑을 만들 생각을 했을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이욘의 미소'라 불리는 이 얼굴은 왕인 자야바르만7세의 것이라고 한다. 또는 그의 현신인 관세음보살로 추정되기도 한다. 얼굴이 왕이든 관세음보살이든 또 어느 신의 모습이든 그들은 서로 다른 곳을 바라보기도 하고 마주보기도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비록 머리가 깨져 어디론가 달아나버렸지만 그 미소만은 변함이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곳은 마치 하늘의 신들이 잠시 휴식을 취하고 있는 곳 같았다. 수많은 신들의 얼굴이 사방에 흩어져 있고, 그들은 너무나도 미약한 인간들이 그들 사이를 휘젖고 다녀도 아무런 동요도 않는 듯 편안하게 웃고만 있다. 아마도 현장에서의 감동을 몇 마디의 글로도 이따위의 사신으로도 전하지 못할 듯 싶다. 별수 없다. 직접 가보는 수밖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면상이 조각된 탑은 모두 54개지만 현재 남아있는 것은 36개이다. 즉 모두 남아있었다면 200개가 넘는 신들의 두상이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200여개의 거대한 두상 속에 휩싸여 있다고 상상을 해보라. 아마도 나는 이곳이 인간 세계임을 망각하고 말 것이다. 실제 현지에서도 그와 비슷한 감정을 느꼈던 나이다. 나는 잠시 천계의 신들의 세계로 들어온 것을 아닐까... 하고 말이다.

잠깐 사진을 통해서 미약하게나마 당시의 감정을 전해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이욘 3층의 중앙성소. 하지만 미처 이곳을 둘러볼 생각도 못했다. 제각기 다르게만 보이는 얼굴상만을 좇다보니 어느덧 이곳을 떠나야 할 시간이 되었던 것이다.

어이구... 내가 미쳤지... 잠깐 그들의 야릇한 미소에 미쳤던 게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3층의 한 켠에 있던 모델들. 아마도 사진을 찍혀주고 돈을 받는 듯 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관광객들은 그냥 스쳐 지나가기 일쑤였다. 나 역시 돈주고 사진을 찍는 일에 익숙치가 않아 그냥 이렇게 상황만 담아버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실 바이욘엔 사면상만이 있는 것은 아니다. 아까 1층에도 많은 회랑의 부조가 있었고, 이처럼 잠깐이라도 둘러보면 여러 가지 조각상들이 있다. 사진은 비슈누가 타고 다닌다는 신조(神鳥) 가루다(Garuda).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원을 지키는 사자상. 사자는 어디에서고 문지기 노릇을 톡톡히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마도 중앙성소에 있던 부처상 같은데... 정확하진 않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앙코르왓의 압사라와는 다른 인상을 보여주는 바이욘의 압사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쩌면 더 수수하게 보이기도 하지만 저 잘록하게 들어간 허리라인을 보라. 정말이지 짜릿하지 않은가? 콜라병은 저리 가라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느 곳의 상인방 부조인지... 어떤 이야기를 담고 있을 것인데... 알 수 없음이 아쉽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너무 새끈한 것보다는 이런 정도의 닳음이 느껴지는 질감이 좋다. 돌이지만 차갑지 않은 느낌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이욘은 미로와도 같은 곳이다. 숨겨지지 않았지만 숨겨진 듯한 이러한 골목들이 쭈욱 둘러있다. 아마도 1층 회랑인 듯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이욘의 1층 외곽엔 미처 복원하지 못한 조각들이 아무렇게나 쌓여있다. 이것들은 캄보디아의 숙제이자 이 시대 인류의 숙제일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쉬움을 뒤로 하고... 바이욘을 떠났다. 잠깐 홀렸던 것이 이곳에서의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3층 얼굴상 사이를 헤매며 보냈다. 그게 몇십분이었는지 한 시간이었는지 잘은 기억하지 못하겠다. 돌다보니 일행들이 나를 기다리고 있었고, 미안한 맘에 회랑을 돌아볼 시간을 더 달란 말도 못하고 이곳을 벗어나야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지금은 이렇게 그들의 고운 미소만이 남아 있다.

아... 너무 아쉬워...






반응형